-> 건강일반
변형 감귤 펙틴 - 암 치료의 열쇠
장지혁 기자 입력 2013년 08월 30일 18:34분519,318 읽음

변형 감귤 펙틴-면역 조절, 중금속 제거, 종양 혈관 생성 차단
기존의 연구들을 재검토해보니 변형 감귤 펙틴(MCP)이 암을 치료할 가능성이 있는 것을 시사하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연구진은 또 변형 감귤 펙틴이 항암치료에 시너지 효과를 미치는지도 연구해보았고, 변형 감귤 펙틴이 면역을 조절하고 중금속을 안전하게 제거하고 염증유발 단백질인 갈렉틴-3을 차단하는 능력이 있는지도 연구해보았다.

펙틴은 감귤류 또는 사과즙의 찌꺼기를 묽은 산으로 추출하여 얻어지는 정제된 탄수화물의 중합체로 식품에 응고제, 증점제, 안정제, 고화방지제, 유화제 등으로 사용된다.

통합의학 연구가로 변형 감귤 펙틴 공동개발자인 아이삭 엘리아즈는 변형 감귤 펙틴이 특히 전이성 암과 중금속 독성 및 과잉 갈렉틴-3과 관련된 생명을 위협하는 만성적인 질병들에 대항하는 작용을 발휘하는데 이번 연구가 그런 작용의 여러 가지 메커니즘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식물성 펙틴은 위장관 속에서 작용해서 소화와 면역 기능을 도와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인체 전반에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는 이유는 식물성 펙틴의 생체 이용률이 낮기 때문이다. 일반적인 펙틴은 길고 복잡한 용해 섬유소를 함유하고 있는데 그게 크기가 너무 커서 혈관 속으로 흡수되지 못한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일반 감귤 펙틴 분자를 변형해서 그 크기와 가지를 줄여서 변형 감귤 펙틴이란 것을 개발했다.

분자의 크기와 모양을 변형시킨 변형 감귤 펙틴은 혈관 속으로 쉽게 흡수가 되어 인체 전반에 많은 치료효과를 발휘하게 되었고 이는 많은 연구를 통해 입증되었다. 예를 들면 이번 연구는 변형 감귤 펙틴이 전이성 흑색종 뿐만 아니라 전립선암, 유방암, 결장암도 통제하는 능력을 갖고 있는 점을 논하고 있다. 이런 결과는 많은 연구를 통해 확인되었고 또 그런 연구를 통해 변형 감귤 펙틴이 종양의 새로운 혈관생성을 억제하는 능력도 갖고 있는 것이 밝혀졌다. 새로운 혈관생성을 차단하는 것은 암의 전이를 막는 핵심적인 요인이다.

변형 감귤 펙틴-아포토시스 유도, 항암·방사선 치료에도 도움
또 변형 감귤 펙틴이 암세포의 아포토시스, 죽 세포 자살을 유도하는 것도 밝혀졌다. 아포토시스는 미리 정해진 스케줄에 따라 세포가 사멸하는 것인데 종양에서는 아포토시스가 억제되어 암세포가 제멋대로 자라게 된다. 변형 감귤 펙틴이 암의 아포토시스를 도와주는 것은 많은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

그런 연구 중 하나가 컬럼비아대학에서 2010년에 실시한 연구이다. 그 연구에서 변형 감귤 펙틴이 안드로겐 의존성 전립선암인지 여부와 상관없이 전립선암 세포의 아포토시스를 유도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 연구는 안드로겐 비의존성 전립선암은 악성이 아주 강해 치료하기 어렵기 때문에 특별한 의미가 있다.

변형 감귤 펙틴이 항암치료의 효과를 더 높여주는 능력이 있는 것으로 드러난 점도 이번 연구의 또 다른 중요한 성과이다. 즉 시스플라틴이나 에토포시드나 혹은 독소루비신과 함께 변형 감귤 펙틴을 병용하면 암세포가 그런 치료에 더 민감해지는 것으로 드러난 것이다. 변형 감귤 펙틴은 방사선이 염증을 일으켜 장기를 손상하는 것을 막아주는데도 도움이 되기 때문에 방사선 치료 중에도 유용한 것으로 드러났다.

출처: S. K. Niture & L. Refai "Plant Pectin: A Potential Source for Cancer Suppression" Am J Pharmacol Toxicol. 2013; 8(1):9-19.

월간암(癌) 2013년 8월호
추천 컨텐츠
    - 월간암 광고문의 -
    EMAIL: sarang@cancerline.co.kr
    HP: 010-3476-16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