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강일반
강박증, 대인기피증 극복의 핵심은 조기 진단과 원인 맞춤 치료
구효정(cancerline@daum.net) 기자 입력 2025년 11월 14일 15:34분88 읽음
회사 생활을 시작한 직장인 김모 씨(28)는 회의 시간이 다가오면 얼굴이 붉어지고 가슴이 두근거린다. 발표 전날에는 불안과 긴장으로 잠을 이루지 못한다. 실수를 하지 않기 위해 반복적으로 문서를 확인하거나 정리하지 않으면 불안이 가라앉지 않는다. 그는 “강박증과 대인기피 증상이 함께 나타나 대중교통 이용도 어려워졌다”고 호소했다. 해아림한의원 강남서초점 주성완 원장은 “사회공포증(대인공포증)은 타인 앞에서 불안과 긴장을 느끼고 이를 피하려는 경향이 강화되면서 사회적 기능이 저하되는 질환이다. 방치하면 강박증, 불면, 공황장애, 우울증 등으로 증상이 확산될 수 있어 조기 진단과 원인 치료가 필요하다.”고 설명한다.

강박증 원인과 증상, 치료 필요성
강박증은 불안장애의 일종으로, 반복되는 생각(강박사고)과 행동(강박행동)이 중심 증상이다. 스스로 부조리하다고 느끼면서도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특정 행동을 반복하게 된다. 한의학에서는 이러한 상태를 ‘심(心)과 간(肝)의 불균형’에서 기인한 것으로 본다. 감정의 조절과 관련된 심신 기능이 과도하게 자극받으면서 불안과 초조가 심화되고, 이로 인해 기혈의 순환이 원활하지 못해 사고와 행동의 반복적 패턴이 강화된다는 것이다. 소아의 경우 틱장애나 투렛증후군이 함께 나타나기도 한다. 몸을 움찔하거나 소리를 내지 않으면 불편함을 느끼는 틱 증상 역시 강박성 불안 반응의 일환이다. 이 같은 소아강박증은 청결이나 정돈, 숫자 세기와 같은 의례적 행동으로 나타나며 초기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학습과 사회성 발달에도 영향을 미친다.

사회공포증 원인과 유형
사회공포증은 인구의 10~15%가 한 번 이상 경험할 정도로 흔한 질환이다. 체질적 요인, 유전적 소인, 환경적 자극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발생하며, 한의학에서는 이는 ‘담(痰)’과 ‘울기(鬱氣)’의 결합으로 본다. 담은 뇌기능을 탁하게 하고 울기는 기혈 순환을 막아, 사소한 자극에도 과도한 긴장 반응을 일으키게 된다.

사회공포증은 종류에 따라 여러 형태로 나타난다.
대화공포형: 다른 사람 앞에서 말하기가 두려움.
적면공포형: 얼굴이 쉽게 붉어지는 증상.
시선공포형: 타인의 시선을 피하려는 경향.
식사공포형: 다른 사람 앞에서 식사하기 어려움.
서필공포형: 누군가 지켜보는 상황에서 글쓰기 어려움.
이러한 증상은 단순한 성격 특성이 아니라, 지속적인 두뇌 신경 기능의 불균형으로 인한 ‘질환’으로 보아야 한다.

한의학적 진단과 원인별 맞춤 치료
강박증과 사회공포증, 대인기피증의 원인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한의원에서는 체질검사, 뇌기능검사, 인지기능검사, 좌우뇌균형검사 등을 시행한다. 이러한 검사를 통해 환자의 민감도, 스트레스 수용력, 증상의 지속 정도를 평가하고 치료 방향을 결정한다.

한의학적 치료에서는 체질과 증상에 따라 한약 요법, 약침 및 침 치료, 두개천골요법(두개골 내 순환 개선법), 인지행동치료, 자기조절훈련 등이 병행된다.
특히 불안과 긴장이 심한 환자에게는 심신 안정과 자율신경계 균형을 돕는 한약이 사용되며, 추나나 자하거 약침 등으로 뇌기혈순환을 개선해 긴장 반응을 완화시키는 효과를 높인다.

예방과 생활관리
강박이나 사회공포 경향이 있다고 스스로 자책하기보다는, ‘이해하고 다스린다’는 관점이 필요하다. 회복 과정에서 증상의 호전과 악화가 반복될 수 있으므로 일희일비하지 말고 꾸준히 치료를 이어가는 것이 좋다. 평소에는 카페인·기름진 음식·술·담배를 피하고, 심호흡이나 가벼운 명상, 규칙적인 수면 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해아림한의원 강남서초점 주성완 원장은 “강박증과 사회공포증, 대인기피증은 단순한 의지 문제가 아니라, 뇌와 마음의 조절 체계에 불균형이 생긴 상태다. 조기에 원인을 파악하고 체질에 맞는 치료를 병행한다면, 다시 사회적 자신감과 안정감을 회복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월간암(癌) 인터넷뉴스
추천 컨텐츠
    - 월간암 광고문의 -
    EMAIL: sarang@cancerline.co.kr
    HP: 010-3476-16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