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의학상식
유방암과 비만을 연관 짓는 메커니즘
구효정(cancerline@daum.net) 기자 입력 2020년 06월 30일 16:37분4,472 읽음
지방 조직의 단백질이 유방암 성장의 동력 된다
높은 수준의 체지방이 유방암뿐만 아니라 다른 암들의 위험도 높이는 것은 널리 인정되고 있다. 루이스빌 대학교 미생물학 및 면역학과와 암 센터의 조교수인 빙 리 박사는 현재 진행 중인 자신의 연구에 근거해서 지방 세포가 분비하는 단백질이 유방암 발생을 추동한다는 독특한 이론을 제기하는 논문을 발표했다.

리 교수는 지난 5년 동안 국립 암 연구소의 지원을 받아 연구를 실시하고 있다. 그 연구로 그는 지방 조직에 발현하는 단백질의 활동과 유방암 발생 증가 간에 관련이 있는 것을 발견했다. 그는 논문에서 지방 조직에서 발현되는 지방산 결합 단백질(FABP4)이 유방암 성장의 동력이 된다고 설명했다.

리 교수는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많은 유형의 암이 비만과 관련되어 있다. 유방암만 그런 것이 아니다. 13가지가 넘는 유형의 암이 비만과 분명하게 연관되어 있고, 우리가 더 많은 데이터를 확보하면 그 목록이 갈수록 더 길어질 것으로 나는 생각한다. 우리 연구에서 우리는 지방산 결합 단백질족(族), 특히 그 중 하나인 FABP4가 비만과 암, 가장 확실하게는 유방암, 간의 연관성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발견했다. 우리는 FABP4가 비만과 관련이 있는 유방암의 발생을 촉진하는 근본적인 분자 메커니즘에 책임이 있다는 이론을 세웠다.”

인체의 지방 조직은 지방 세포들 속에 FABP4를 만들어서 비수용성 긴사슬 지방산을 처리하고 분배한다. 정상적인 조건에서는 일정한 양의 FABP4가 혈류로 들어간다. 그러나 더 많은 양의 지방 조직이 축적되면 더 많은 FABP4가 혈관 속으로 분비된다. 우리가 비만해지면 이 단백질이 훨씬 더 많이 순환계 속으로 분비된다고 리 교수는 말했다. 정상적으로는 이들 분자가 세포들 속에 있지만 비만해지면 이들 분자가 세포밖에 있다고 그는 부언했다.

FABP4에 대한 항체 개발, 비만과 연관된 암에 효과적 치료 전략
리 교수의 이론은 FABP4가 유방암 성장을 촉진하는 듯한 2가지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첫 번째는 세포들 속에서 FABP4가 종양과 연관이 있는 어떤 대식세포들 속에서 증가하고 그런 대식세포들이 종양 성장을 촉진하는 종양들 속에 축적된다. 리 교수의 연구는 또 동물 모델들에서 FABP4가 억제되면 지방 조직이 그대로 있는데 불구하고 종양 성장이 감소하는 것도 밝혔다.
두 번째는 높아진 수준의 FABP4가 비만한 상태의 지방 세포들 밖에서 순환하면 이 단백질이 유방암 세포들과 직접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유방암을 촉진한다. 동물연구에서 FABP4가 통제된 비만한 동물에서는 유방 종양 발생과 성장이 감소했다.

게다가 혈류 속의 FABP4는 종양 구성요소들과 지방세포들 간의 상호작용을 부추겨서 암 발생을 촉진하는 여러 가지 메커니즘에서 작용하는 듯하다. 더욱이 리 교수의 연구진은 최근에 학술잡지인 암 연구를 통해 다른 유형의 고지방 음식들이 종양 발생에 다른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밝힌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코코아 버터나 혹은 어유 같은 고지방 음식은 둘 다 지방으로 생기는 비만을 초래했다. 그러나 코코아 버터 식품은 유방 종양 성장을 증가시켰고 어유 식품은 그렇지 않았다. 이 연구는 비만과 관련이 있는 암에 FABP4의 역할이 중요한 것을 확인해줄 뿐만 아니라 모든 비만이 종양 발생을 촉진하지는 않는다는 것도 보여준다.

리 교수와 그의 팀은 대식세포 속에서와 순환계에서 FABP4가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더 잘 이해하는 것이 특정한 유방암이 진행하는 것을 막아주는 기회를 제공해줄 수 있을 것으로 믿고 있다.
이는 또 약물이나 독특한 항체로 FABP4를 표적으로 삼는 치료방법들의 개발로 연결될 듯하다. 이제 우리는 이 단백질에 대한 항체를 만들어내려고 하는데, 이는 비만과 관련이 있는 암에 대해 아주 효과적인 치료 전략이 될 수가 있을 것이라고 리 교수는 말했다.

참조:
J. Zeng et al., "FABP4: A New Player in Obesity-Associated Breast Cancer" Trends Mol Med. 2020 May;26(5):437-440. doi: 10.1016/j.molmed.2020.03.004.
월간암(癌) 2020년 6월호
추천 컨텐츠
    - 월간암 광고문의 -
    EMAIL: sarang@cancerline.co.kr
    HP: 010-3476-16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