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문가칼럼
암환자에게 방사선치료를 하면서 생기는 부작용들
고정혁 기자 입력 2016년 01월 29일 18:35분26,098 읽음
글: 김진목 | 부산대병원 통합의학센터 교수 역임, 현재 진영제암요양병원 병원장, 대한민국 숨은명의 50, ‘통합암치료 로드맵’ 등 다수 저술


■ 피로
방사선치료 중에는 정상적으로 소모되는 것보다 더 많은 에너지가 소모된다. 이로 인해 방사선치료 과정과 이후에 많은 피로를 경험하게 된다.
피곤함의 정도는 개인차가 있지만 대부분의 환자들은 일상생활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피로는 치료 후 몇 주에서 몇 달간 나타나며 치료 종료 후 약 2~6주간에 걸쳐 점점 사라진다.

■ 피부
방사선이 조사된 국소적인 부분의 피부에 건조, 붉어짐, 부어오름, 가려움증, 벗겨짐, 약해짐, 색이 어두워짐 등의 증상들이 나타날 수 있다.
피부 반응의 정도는 다양하지만 방사선조사량이 클수록 심해진다. 겨드랑이, 가슴 아래, 회음부, 서혜부와 같이 피부가 접히는 부위의 피부는 다른 부위에 비해 따뜻하고 수분이 많아서 방사선에 더 민감하다.
치료 부위의 피부 반응은 치료 시작 후 2주일이 지나면서 나타나는데, 처음에는 옅은 분홍색을 띄다가 어둡고 거무스름하게 진행된다. 피부가 민감해지면 약간의 부종이 생기기도 한다.

치료가 진행될수록 가렵고 건조해지며 건성 피부박리가 오기도 한다. 치료 시작 후 4~6주에는 간혹 피부의 상피세포가 벗겨지고 장액성 삼출물이 흐르는 습성 피부박리가 나타나기도 한다. 이런 부작용들이 치유되는 기간은 보통 2~4주 걸린다.
색소침착은 이보다 오래 가는데 햇볕에 탄 피부의 색깔이 쉽게 회복되지 않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피부혈관의 변화 때문에 발생하는 피부위축, 모세관 확장증, 섬유종 림프선의 섬유화로 생기는 림프부종 등은 방사선으로 인한 피부의 부작용 중 늦게 나타나는 것으로 치료 후 수주에서 2~3년 후 나타날 수 있다. 이 중 림프부종은 대개 수술과 병합한 경우에 흔히 나타나며 방사선 치료 단독으로는 잘 나타나지 않는다.

■ 두부
방사선이 조사되면 정상 조직에 부종이 야기될 수 있으며, 뇌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뇌는 딱딱한 두개골로 둘러싸여 있어 작은 부종에도 쉽게 증상이 나타난다. 두통, 오심, 구토, 경련, 시야 변화, 운동장애, 언어장애, 의식변화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머리 부분에 방사선을 조사한 경우 탈모를 경험하게 되는데, 방사선을 쪼이는 부위뿐만 아니라 그 반대편에도 탈모가 나타날 수 있다. 치료 후 3~4주에 국소 치료 부위에서 탈모증이 나타나며 털이 다시 자라는 것은 치료 후 2~3개월 내이다.

■ 안면부
방사선을 구강과 목 주변에 조사한 경우 구강건조, 헐어짐, 치아의 부식, 잇몸의 약해짐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이로 인해 음식물의 저작과 연하가 어려워지게 되는데, 구강점막에 염증이 생기는 점막염으로 인하여 식사를 하기가 어려워지거나 입안이 건조할 수 있고, 미각의 변화로 입맛이 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부작용은 방사선치료 시작 후 2주 후부터 나타나기 시작하고, 방사선치료를 종료하면 수일 이내에 호전되기 시작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나 심한 경우 1~2개월 유지되기도 한다. 물을 자주 마시고 구강을 청결히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 흉부
폐암, 림프종, 종격동에 생기는 암, 식도암, 유방암의 치료로 흉부에 방사선을 조사하는데, 방사선치료 중의 일반적 부작용은 식도염이며, 치료 후에는 방사선 폐렴과 폐 섬유화가 나타나기도 한다. 유방암의 방사선치료 시는 조직보호 기술을 적용하며 폐와 식도에 조사되는 방사선 양을 줄여 부작용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식도염은 방사선 조사 부위에 식도가 포함된 경우에 나타난다. 치료 시작 2~3주 후에 목에 무언가 걸려있는 거 같은 느낌을 시작으로 연하곤란이 발생할 수 있다. 식도염의 증상이 심하면 증상 완화 약제를 투여하며, 심한 경우 위장 내에 관을 삽입하여 음식을 투여하면서 치료를 종료해야 한다.

폐 조직에 방사선이 조사되는 면적이 커지면 기침이 생길 수 있다. 처음에는 가래 섞인 기침에서 점차 호흡기 점막의 건조로 가래 없는 마른기침으로 변한다. 충분한 수분의 섭취와 흡연 중단 및 습한 실내 공기 제공 등은 기침을 줄일 수 있다. 심한 기침은 진해제, 기침억제제, 기관지 확장제 등으로 조절한다.

폐에 방사선 치료를 받은 후 2~6개월에 나타난다. 방사선 조사 범위가 넓지 않으면 엑스선 영상에서 폐렴처럼 보이는 변화가 보여도 별 증상이 없으나, 조사 범위가 넓으면 기침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대개는 증상이 1달 내지 2달 동안 지속된 후 별다른 합병증 없이 자연적으로 치유된다.

■ 복부
소장 등이 치료 부위에 포함되어 있을 때 복부 증상이 나타나며 방사선 치료 6시간 이내 발생하여 3~6시간 지속된다. 식욕 부진 및 체중 감소가 동반되는 경우가 흔하다.
방사선 조사부위에 위장 일부라도 포함되면 소화 장애 및 소화 불량을 동반한 위염이 나타날 수 있다.
장에 대한 방사선 조사의 부작용으로 복부 경련, 과도한 가스, 설사가 초기에 나타날 수 있으나 보통 방사선 치료 2~3주 후에 현격히 나타나며, 방사선 치료 후 급속히 호전되거나 때로는 수주 이상 지속될 수도 있다.

장점막이 위축되거나 대장에서의 수분 흡수가 줄면 설사가 나타난다. 담즙산염의 흡수 불량도 설사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배변 횟수가 증가하기도 하며, 통증을 수반하는 물과 같은 설사를 하기도 한다. 때로는 만성 장염이 생길 수도 있다. 지방 섭취를 피하고 저 잔사 식이를 하도록 한다. 계속적인 설사에는 지사제를 투약한다.

■ 골반부
부인과 암, 전립선암, 직장암, 림프종의 치료로 골반에 방사선을 조사받게 되면 설사와 방광염이 흔하게 나타난다.
방광염은 치료 부위 내에 방광이 포함되어 있을 때 나타난다. 증상으로는 배뇨곤란, 방광용적 감소, 빈뇨, 야뇨증 등이 있으며 출혈은 드물다. 감염성 방광염 증상이 나타나면 항생제 치료를 받아야 한다.

여성의 경우 적은 양의 방사선 조사로도 난소부전이 나타나며 홍조, 무월경, 성욕 감소, 골다공증 같은 폐경 증상도 나타난다. 이런 경우 의사와 여성호르몬의 복용에 대해 상담하는 것이 필요하다. 간혹 조사된 방사선의 양에 따라 치료 후에 다시 월경을 할 수도 있다.
또한 고선량 치료부위에 질구개가 속하면 질 협착이 생길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성교 시 불쾌감 및 골반검사 시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질 협착은 질 확장기를 정기적으로 사용하면 예방이 가능하다.

남성의 경우 전립선암 등에서 골반에 매우 높은 방사선이 조사되는 경우에 (65~75Gy 이상) 방사선 조사로 골반 신경의 손상과 골반 내 혈관의 섬유화로 인하여 발기 부전이 나타날 수 있다. 발기 유지 기능은 점진적으로 감소하게 되는데, 이 변화에 대해 환자 및 배우자에게 서명하고 비뇨기과 의사와 상담할 수 있다. 또한 고환은 대부분의 경우 방사선으로부터 가려지지만 그렇지 못할 경우 정자의 생성능력을 상실할 수도 있다. 아기를 갖기를 원한다면 방사선 치료 전에 의사와 상의하여 자신의 정자를 보관해두는 것이 필요하다.
월간암(癌) 2015년 12월호
추천 컨텐츠
    - 월간암 광고문의 -
    EMAIL: sarang@cancerline.co.kr
    HP: 010-3476-1606